대표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페이스북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사람 간 의사표현의 확장은 물론 '좋아요(Like)'를 통해 확인된 의사표현에 공감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최근 페이스북에 공감적 의사소통이 풍부해지도록 공감 리액션(Reactions) 인터페이스가 업데이트 되었다.
공감 리액션은 감정을 나타내는 이미지와 문자의 조합으로 구성된 이모지(emoji) 인터페이스며, 감정을 나타낼 때의 표정 반응에 대한 애니메이션을 더해 감정별 이모지가 해당 감정을 표현하는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페이스북은 공감 리액션의 디자인 원칙으로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자신...더 보기
사용자 경험은 제품, HCI, 인간공학, 건축, 예술, 브랜드 등 다양한 학문과 산업에서 주창하고 성장해 왔습니다. 특히 HCI 분야에서 인터페이스, 인터랙션 이후 사용된 개념이며, 아직도 많은 사용자 경험 원리가 컴퓨터 공학 분야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개발 분야에서 언급되고 있습니다.
사용자 경험은 다학제/다분야의 총체적 시각에서 접근해야 하는 핵심 원리를 바탕으로 다가서야 합니다. 특정 한 분야의 편향된 조명을 벗어나, 다분야에서 경험 디자인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건축학도였던 저는 인간의 삶을 담아내는 그릇인 ‘건축공간’에서의 경험디자인에 대해 이야기를...더 보기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짚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은 당연히 ‘사용자에 대한 이해’입니다. 디자인의 기준이 되어주는 사용자들의 경험적 가치를 도출하기 위해, 우리는 사용자를 오랜 시간 관찰도 하고, 설문도 받고, 직접 질문을 하는 등 정량/정성적인 다양한 리서치 기법을 활용합니다.
그러나 리서치를 하고 난 후, 기대했던 만큼 사용자를 충분히 이해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사용자를 만나기 전, 나름 철저히 준비한 리서치 계획과 이슈 리스트를 가지고 기대에 찬 질문을 건네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신통치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무엇이 부족했을...더 보기
현대 건축에서는 형태와 그로인해 나타나는 공간의 실체, 그리고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기능들의 관계에서 주체적 존재로서 인간을 개입 시키고자 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은 근대 건축에서의 단일성과 필연성, 동일성을 지양하고 현실에 내재된 우연성과 다양성을 인지하고 이를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공간과 형태로 드러내고자 한다.
이와 같이, 기능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현대 건축이 제안하는 프로그램은 근대 건축의 기능주의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이 기능 자체에 있었던것이 아니라, 기능과 형태의 관계에 있었다는 것에 주목...더 보기